EZ EZViwe

광주 HDC 신축 아파트 붕괴 피해자들 "시공사 엄벌, 사회 전반 안전도 강화"

홍경의 기자  2022.02.08 22:22:10

기사프린트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광주 HDC현대산업개발(이하 현산) 신축 아파트 붕괴 사고 피해자들이 사회 전반의 안전도를 높여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건설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된 보완책과 함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촘촘한 제도·문화를 만들어야 한다는 뜻이다.

붕괴 사고 피해자 가족협의회는 8일 "중대 재해를 일으킨 원청을 강하게 처벌하고, 후진국형 사고가 반복되는 원인을 점검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피해자 가족협의회는 "정부는 재난 상시 대응 전담 부서를 만들어야 한다. 이번 사고처럼 정부가 늦게 투입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며 "특히 재난 수습이 장기화될 경우를 대비한 체계 마련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더라도 지금 법 체계로는 부족해 보인다. 현장 전반에 퍼진 안전불감증 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며 "비극을 막기 위해서는 사고 발생 시 원청을 대상으로 하는 강력한 제재가 반드시 필요하다. 끝까지 지켜보겠다"고 덧붙였다.
 
붕괴 사고로 간접적인 피해를 본 사람들도 언제 다시 발생할지 모를 추가 피해를 우려하고 있다. 현산의 공사로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는 인근 주상복합상가 상인들은 사고 발생 원인으로 기업을 대상으로 한 강력한 처벌이 없었다는 점을 꼽았다.

사고 현장 인근에서 식당을 운영 중인 서모(64·여)씨는 사고 첫 날인 지난달 11일부터 타워 크레인 전도 위험성이 해소된 지난달 24일까지 장사를 하지 못했다. 그간 영업을 하지 못한 데 따른 보상은 추후 시공사인 현산 측에서 할 예정이지만, 향후 건물에 대한 남은 절차를 진행하는 도중 비슷한 일이 또 발생할 수 있을 것을 우려하고 있다.

서씨는 "앞으로 건물을 어떻게 해야 할지 결정을 앞둔 상황이라는데 또 지난 번처럼 장사를 못하는 경우가 생기면 굉장히 번거로울 것 같다"며 "현산 측이 영업을 하지 못한 날에 비례해 보상금을 지급한다고 하지만,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어야 할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해보인다"고 덧붙였다.

주상복합건물 상가에서 문구 도매상을 운영 중인 김모(66)씨는 지난해 학동 참사 당시 현산에 강력한 처벌이 이뤄지지 않아 사고가 재발했다고 지적했다.

김씨는 "학동 참사 당시 현산에 영업 정지가 내려졌을 법한데도 그렇지 못했다. 기업에 대한 철퇴가 솜방망이 수준으로 이어져온 것이 이번 사고의 근본적 원인이다"며 "두 번 다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아예 건설업 등록을 말소해 악폐의 싹을 잘라내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공정을 제대로 감독하지 않은 행정당국도 사고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행정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사고를 직접 목격한 시민도 정신적인 피해를 호소하면서 유사 사례가 일어나지 않길 바랐다.

사고 당시 차량을 타고 인근을 지나다 쏟아지는 붕괴 잔해물에 피해를 입은 차량 운전자는 "한시라도 이 사고로부터 벗어나 평범하게 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불행 중 다행으로 빠져나온 것 만으로도 감사할 따름이다"며 "더 큰 피해를 입은 희생자들을 생각하면 안타깝다. 두 번 다시는 이런 일이 없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달 11일 오후 3시 46분께 광주 화정아이파크 201동 39층 타설 작업 중 23~38층이 무너져 내려 하청 노동자 6명이 숨지고, 1명이 다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