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저지 TF 첫 회의…단계별 대응 전략 논의

홍경의 기자  2022.02.04 16:00:24

기사프린트

 

이상화 공공외교대사 주재로 4일 오전 개최
"근대산업시설 관련 약속부터 먼저 이행해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일본 사도(佐渡)광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저지하려는 우리 정부 측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TF) 첫 회의가 4일 열렸다.

외교부에 따르면 TF 단장을 맡은 이상화 공공외교대사 주재로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 대응 민관 합동 TF' 1차 회의가 이날 오전 개최됐다.

참석자들은 2015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하시마섬(端島·군함도) 등 일본 근대산업시설과 관련해 지난해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결정문을 채택한 사실을 강조했다. 위원회는 결정문을 통해 해당 시설에서 조선인 강제노역이 벌어진 사실을 알리겠다던 약속을 충실히 이행하라고 일본에 촉구했다.

참석자들은 일본이 스스로 국제사회에 약속한 이 같은 후속조치부터 먼저 지체 없이,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는 정부 입장에 적극 공감했다.

그러면서 사도광산 등재 추진 대응에서 민관의 유기적이고 긴밀한 공조가 중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이 대사는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자문과 관계부처·기관 간 긴밀한 협업을 통해 필요한 자료 수집과 분석 등을 면밀히 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향후 단계별 대응 전략 및 관계부처·기관별 조치 계획을 논의했다.

우리 정부는 1월28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가 사도광산을 세계유산으로 추천한다고 공식 발표한 직후 발 빠르게 TF를 출범한 바 있다.

TF는 앞으로 필요하면 수시로 분야별 소그룹 실무회의를 여는 등 본격적인 활동을 벌일 예정이다. 국제사회와의 공조도 적극적으로 전개할 방침이다.

1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추천서를 제출한 일본은 사도광산 추천 대상 기간을 에도시대(1603~1867년)로 한정하려 하고 있다. 이는 조선인 강제노역이 있었던 일제강점기를 배제하려는 꼼수로, 역사의 어두운 면도 숨기지 말고 알려야 한다는 '전체역사' 해석전략을 중시하는 유네스코의 세계유산 등재 원칙에 어긋난다.

향후 단계별 진행 과정을 보면 세계유산센터가 신청서를 검토해 유네스코의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에 평가를 의뢰한다.

이코모스는 현지조사에 이어 내년 상반기 패널회의를 통해 등재 권고사항을 결정한다. 위원회는 이를 바탕으로 7월께 최종 결정을 내린다.

등재 여부가 최종 결정될 예정인 내년 여름까지 한국과 일본은 치열한 외교전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도 1일 등재추진 TF회의를 처음으로 열었다.

21개국으로 구상된 세계유산위원회는 통상 컨센서스(전체합의)로 유산 채택 결정을 내려왔다. 하지만 일본은 3분의 2 이상인 14개국의 찬성이란 최소 요건만 달성하겠단 전략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회의에는 ▲외교부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행정안전부 ▲문화재청 ▲해외문화홍보원 ▲국가기록원 ▲동북아역사재단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등 10개 관계부처·기관의 국장급 인사와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