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재택치료자 관리 1인당 150명…15만명 이상 가능

한지혜 기자  2022.02.04 14:32:44

기사프린트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정부는 코로나19 확진자 재택치료 관리 가능 인원을 의사 1명당 150명으로 조정해 15만여명을 관리토록 지원할 방침이다. 확진자 급증에 따른 재택치료 관리 여력을 확충하기 위해서다.

추후 확진자가 급증하면 60세 이상 고령층, 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에 대해 역학조사를 집중하는 등의 고위험군 우선 관리 체계를 가동할 계획이다.

정부는 올해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해 6492개 병상을 추가로 확보한 것으로 파악됐다. 당초 계획했던 목표치의 93% 이상에 달하는 수치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통제관은 4일 중대본 정례 브리핑에서 "(재택치료)의료인력의 관리 가능한 환자를 현재 100명에서 150명으로 확대했다"며 "하루 돌볼 수 있는 재택치료 환자 수는 15만명까지 확대됐다"고 말했다.

정부는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을 앞둔 지난해 10월부터 재택치료를 확대해 왔다. 여기에 기존 델타 변이보다 무증상·경증 환자가 많은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하면서 재택치료 범위와 관리 여력을 더 늘렸다.

앞서 24시간 상시 대응체계는 유지하되 하루 2~3회로 진행됐던 건강 모니터링을 지난 3일부터 1~2회로 줄였다.

정부는 또 재택치료 관리 의료기관을 꾸준히 늘리고 있다. 이날 기준 494곳이 재택치료 관리에 참여 중이다.

여기에 더해 24시간 관리가 가능한 병원급 관리 의료기관에서 의사 1명당 관리 가능한 인원을 100명에서 150명으로 조정했다. 당국은 이를 통해 기존 11만명에서 15만명 이상을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최종균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재택치료반장은 "오미크론 변이로 고위험군 비중이 낮아지고, 젊은 층도 중증화율이 많이 낮아지기 때문에 관리 의료기관에서 15만명보다 좀 더 많은 환자를 볼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재택치료자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이날 0시 기준 재택치료 중인 환자는 10만4857명으로, 전날 확진자의 87%인 2만1102명이 더 늘었다. 수도권에서 1만2674명, 비수도권에서 8428명이 배정됐다.

이와 달리 전날부터 동네 병·의원 중심의 검사·의료체계로 전환했지만,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을 비롯한 재택치료 관리 의료기관 수는 많이 늘어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통제관은 "연휴 다음 날 시행했기 때문에 국민과 해당 의료기관에서도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점차 정착되고 있는 단계"라며 "진찰과 검사, 치료와 재택까지 이어지는 모형을 구상하고 있는데, 아직 재택까지 이어지는 모형에 대해서는 많은 (참여 의료기관) 수가 나오지 않고 있다. 계속 독려하겠다"고 말했다.

 

확진 판정을 받고도 보건소나 의료기관에서 아무런 연락을 받지 못했다는 사례도 나오면서 재택치료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역학조사와 환자 분류 등을 담당하는 보건소나 의료기관의 업무가 과중한 탓이다.

이 통제관은 "보건소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6개 보건소장과의 회의에서 기초역학조사, 공동격리 조사 과정에서 상당히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최대한 정부에서 보건소의 어려움을, 행정적 부담을 덜어드리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보건소 업무 부담을 덜기 위해 확진자가 스스로 동선, 성명, 동거가족, 근무지 등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역학조사 체계를 개편할 예정이다. 개편된 체계는 오는 7일 시행된다.

이 통제관은 "가급적이면 역학조사 첫 과정에서 전자 방식을 통해 간단히 처리하고, 이후 재택치료에서도 보건소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준비 중"이라며 "기존의 촘촘하고 세밀했던 체계를 다소 유연하고 신속한 체계로 바꾸겠다"고 덧붙였다.

역학조사를 포기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이 통제관은 "결코 역학을 포기한다는 것이 아니다. 이미 많은 지자체에서 자기기입식 역학조사를 하고 있다"며 "역학조사관이 기입된 정보를 받고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고 문제가 있으면 다시 전화해서 확인한다. 기존의 역학조사에 전자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반장도 "앞으로 코로나19 환자가 증가하면 60세 이상, 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을 위주로 현행 체제를 유지하거나 강화할 계획"이라며 "한정된 의료자원을 감안해 경증, 무증상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관리체계 개편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달 1일부터 이달 3일까지 정부는 코로나19 치료 병상 6492개를 추가로 확보한 것으로 집계됐다. 당초 계획했던 목표량 6944개의 93.5% 수준이다.

지난해 12월 추가병상 확충 및 운영계획에 따른 것으로 세부적으로는 중증·준중증 병상 2420개, 중등증 병상 4072개를 추가로 확보했다.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행했던 지난해 11월1일 총 1만1594개에서 1만2749개 병상이 추가로 확충됐다. 중환자 전담치료 병상 1347개, 준중환자 병상 2532개,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 8870개가 늘었다.

4일 0시 기준 전체 병상 보유량은 4만5552개로 전일 대비 554개 병상이 확충됐다.

현재 병상 가동률은 중증 14.9%, 준중증 39.2%, 중등증 41.1%다. 무증상·경증 환자가 입소하는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은 44.0%다.

병상 여력이 회복되면서 입원대기 환자는 없는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