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코로나19 오미크론 대응을 위한 의료체계 전환에 따라 신속항원검사키트(자가검사키트) 수요가 늘어나면서 지난 1주간 국내 키트 생산량이 2000만명분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4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로부터 이 같은 내용의 국내 신속항원검사키트 수급 관리현황 등을 보고받아 이를 논의했다고 밝혔다.
식약처에 따르면 지난달 28일부터 지난 2일까지 신속항원검사키트 생산량은 총 2186만명분이다. 이는 일평균 기준으로는 437만2000명분이다.
공급량은 총 1646만명분으로, 선별진료소 등 공공분야에 220만명분 공급을 완료했고 466만명분을 공급 중이다. 또 약국과 온라인 쇼핑몰 등 민간분야에 614만명분 출고를 완료했으며 346만명분이 출고될 예정이다.
정부는 신속항원검사키트 물량 부족과 가격 상승 등 공급난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 태스크포스(TF)를 중심으로 생산부터 공급, 유통 과정 전반을 철저히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공공부문 수요량 예측을 위해 주 단위 소요량을 조사하고, 민간으로 공급된 960만명분에 대한 유통 조사를 통해 2월 민간 수요량을 추계할 예정이다.
국내 공급량에 대해서는 신속항원검사키트 제조업체로부터 생산·수출·재고 실적을 일일 보고받아 공급량 예측과 조정을 해나갈 계획이다.
이와 관련 이기일 중대본 제1통제관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신규 생산업체의 허가를 조속히 추진하겠다"며 "이를 통해 생산량을 보다 늘리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기존 계획된 수출 물량과 일정을 조정해 국내 유통 제품을 우선적으로 확보하겠다"며 "특히 국내 물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수출 제한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부는 유통량과 가격에 대해서는 상시 모니터링을 하는 한편, 매점매석 및 가격교란 등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판매가격, 판매처 제한 등 엄정 조치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수급 조정을 위해 선별진료소, 학교 등 우선 공급순위를 정하고, 수요조사를 통해 필요한 곳에 적시 공급되도록 조정 및 실제 공급 여부를 확인할 방침이다.
이 제1통제관은 "국민 여러분과 방역현장, 의료기관 등에서 자가검사키트와 신속항원검사를 원활하게 받을 수 있도록 정부는 철저하게 관리해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