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청와대 "日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 민관 TF 체계적·전방위적 대응"

홍경의 기자  2022.02.03 14:24:12

기사프린트

 

"민관합동TF 중심으로 국제사회와 적극 공조할 것"
시진핑 화상회담 질문엔 "구체적 시기 결정 안됐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청와대는 3일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려는 일본 정부의 움직임에 "우리 정부는 관계기관 및 전문가로 구성된 민관합동 TF(태스크포스)를 중심으로 국제사회와 적극 공조하면서 체계적으로 전방위적인 대응을 시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일본의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추진과 관련한 청와대 입장을 묻는 취재진에게 이같이 답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 2일 유네스코 프랑스 파리 사무국에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추천서를 제출했다. 아울러 다키자키 시게키(瀧崎成樹) 관방 부(副)장관보 주재로 외무성, 문부과학성 등 부처 국장급이 참석한 가운데 사도광산 TF 1차 회의를 개최했다.

우리 외교부는 이상화 공공외교대사를 중심으로 문화체육관광부, 행정안전부, 교육부 등 관계 기관 및 전문가가 참여하는 TF를 구성해 전방위적 대응에 나설 예정이다.

애도(江戶)시대(1603~1868년)부터 유명한 금광인 사도 광산은 일제강점시 조선인이 강제노역을 했던 현장으로 태평양전쟁 당시  구리, 철 등 전쟁물자를 캐는 데 활용됐다.

일본이 사도광산 등재를 위한 기간을 일제강점기는 제외한 에도시대까지로 한정한다고 밝힌 가운데, 등재 여부는 오는 2022년 6~7월께 열리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된다.

한편 오는 4일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개막하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화상 정상회담 추진 여부와 관련해서는 "구체적으로 시기가 결정된 바 없다"고 했다.

이어 "다만 한중 양측은 정상 간 교류가 남북관계 발전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긴밀하게 소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