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도 한국 싫어해…文 '중국 편향 정책', 도움 안 돼" 비판
中 체제 시사하며 "가치 같은 국가끼리만 안보 비밀 공유해야"
'韓日 로드맵' 질문에 "이익 나누는 관계 돼야 과거사도 해결"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는 문재인 정부의 '중국 편향적 정책'에도 "한국 국민, 특히 청년 대부분은 중국을 싫어한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28일 오후 서울 영등포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진행된 주한미상공회의소(AMCHAM) 간담회에 참석해 "현 정부가 중국 편향적 정책을 써왔다"면서 한국의 반중 감정을 거론했다.
그는 이어 "중국 사람들, 중국 청년 대부분이 한국을 싫어한다"며 중국의 반한 감정을 함께 언급했다.
윤 후보는 "한·미·일이 튼튼한 공조를 갖고 이에 기반해 중국을 상대할 때는 (한국과 중국) 서로가 호감을 갖고, 사업과 문화협력에 있어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며 "양국 국민도 서로 굉장히 호의적인 마음을 가졌다"고 말했다.
그는 "이 정부가 중국 편향적 정책을 쓰고 미·중 간의 중간자 역할을 한다고 했지만 결과는 나쁜 것으로 끝났다"고 주장했다.
윤 후보는 중국의 체제를 시사하며 "어떤 국가든, 자기의 헌법 이념, 국가가 추구하는 가치가 서로 공통적인 국가들끼리는 안보라든가 이런 데서 비밀을 공유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서로 간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는 가운데 서로 필요한 협력만 해나가면 된다"고 덧붙였다.
윤 후보는 '한·일 관계 로드맵'에 대한 질문에 "한·일이 과거사 문제를 미래로 조금 당겨서"라며 "미래발전을 위해 서로 협력하고 그런 기반 하에서 과거사 문제도 풀어나가자"고 했다.
그러면서 "서로 으르렁거리는 상황에서는 역사문제를 논의할 수 없다. 이익을 나누는 관계가 돼야 과거사 문제가 잘 풀리게 되어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일 관계 복원은 어렵지 않다. 과거의 한·일 관계는 나쁘지 않았다"며 "과거에 했던 대로만 한다면 한·일 관계는 정상화되리라고 본다"고 했다.
윤 후보는 이날 간담회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국내 반중 감정이 악화된 게 현 정부의 편중정책 때문인가'라는 질문을 받고 "중국을 우대하는 정책을 썼는데도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을 보면 국민들 간의 감정은, 정부의 정책을 갖고 되는 문제가 아니라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 사람들도 우리나라 사람을 별로 안 좋아한다"며 "정부가 그런 정책을 써도 결국 원칙대 원칙으로 돌아가는 게 국민과의 소통과 관계를 좋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게 아닌가"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