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28일 대변인 논평 통해 "매우 개탄스럽다"
"강제노역 장소, 충분한 서술 없이 등재되지 않도록"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일본이 조선인 강제동원 현장인 사도(佐渡)광산을 2023년도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 후보로 추천하기 위한 절차에 들어간 데 대해 외교부는 "매우 개탄스러우며 이를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28일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직접 읽은 대변인 논평을 통해 이처럼 밝혔다.
최 대변인은 "우리 정부는 본인의 의사에 반해 강제노역이 이뤄진 장소가 이에 대한 충분한 서술 없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지 않도록 유네스코 등 국제사회와 함께 단호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일본이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하시마섬(端島·군함도) 등과 관련해 일제 강점기 한국인의 강제노역 사실을 제대로 알리겠단 약속을 뒤집은 전례가 있다고 지적했다.
최 대변인은 "유네스코 일본 근대산업시설 관련 세계유산위원회(유산위)의 결정과 일본 스스로 약속한 후속조치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일본 문화청 문화심의회에서 또 다른 한국인 강제노역 피해 현장인 사도광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 추진키로" 했다고 비판했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일본 문화심의회는 사도 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추천 후보로 선정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에 대한 세계문화유산 등록 신청서를 내년 2월1일까지 제출해야 한다.
정부가 정식으로 신청서를 내면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 평가가 이뤄진다. 이후 유산위는 매년 6월말에서 7월 사이 열리는 회의에서 신규 세계유산 등재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
일본은 한국인이 강제노역한 군함도 등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할 때도 비슷한 논란을 자초한 바 있다.
2015년 7월 유네스코는 군함도 등 일본 23개소 메이지(明治)시대 산업시설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 여기에는 조선인 강제노동 같은 역사적 사실을 일본 정부가 제대로 알려야 한다는 조건이 달렸다.
당시 유네스코 일본대사는 "다수의 한국인 등이 본인의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조건 하에서 강제 노역한 사실"을 이해할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일본은 약속을 지키지 않았고 7월 유산위는 일본을 향해 "강하게 유감을 표명한다(strongly regrets)"며 이행을 촉구하는 결정문을 채택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