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정부가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210명에 대해 재원 20일을 기점으로 일반 병실로 옮겨 치료를 받게하는 전실 행정명령을 내린 것으로 파악됐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23일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비대면 설명회에서 "코로나19 전담 중환자실에서 일반 병상으로 이동하는 것이 격리해제"라며 치료를 중단하고 퇴원시키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있는데 감염 가능성이 떨어져 전담 병상에서 일반 병상으로 전원하는 조치"라고 설명했다.
손 반장은 "치료 요인이 있는 환자의 경우는 일반 중환자 병실이나 일반 병실로 내부 전원하거나 다른 병원으로 전원 조치가 취해지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어 "현재 20일 지난다고 일률적으로 명령이 나가는 것이 아닌 재원 적정성 평가를 통해 코로나19로 인한 감염위험 없다고 판단되면 나가는것"이라며 "산술적으로 20일로 자르는 것은 아니고 전원할 곳이 없어 남아있는 환자, 중증치료가 더 필요하다고 재평가를 신청한 환자도 있다"고 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 이 같은 정부의 전원 명령이 적용된 환자는 210명 규모이며, 추후 전원할 병상이 마련돼 이미 조치가 이뤄졌거나 곧 이뤄질 예정인 환자 수는 89명이다.
이와 관련 박향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모든 이들을 일괄적으로 옮기는 것으로 보는데 소명하거나 소명 예정인 이들도 63명 정도"라며 "증상 발생일에 착오, 오류있는 환자가 몇명 있어 추가로 진행되고 있고 예외에 대해선 적정성팀 및 의료진과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박 반장은 "대개 코로나19 중환자실에서 일반 중환자실로 전실한 환자들이 꽤 있고 정확한 수는 파악 중"이라며 "사례로는 인공호흡기 달고 있던 환자 한 분이 호흡기를 단 채로 일반 중환자실로 옮겼고, 격리가 더 필요하지만 일반 격리 중환자실로 옮긴 환자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아예 다른 병원으로 중등증으로 스텝다운해서 옮긴 경우도 있고 해당 병원 내 일반 중환자실 전실도 꽤 있다"면서 "전원 명령이라고 하니 방을 뺴는 개념같은데 실제로 전원명령 이행한 환자들은 전원한 것"이라도 말했다.
그러면서 "대부분 기저질환 치료를 이어가고 있고 나머지는 치료를 위해 중환자실 확보가 필요한 상황인데 자체 병원에서 방을 재조정하거나 향후 국립대병원에서 중환자 병실 늘렸을때 급하지 않은 외래 등 미루는게 전제돼여 하는 상황"이라며 "(이를 위해)계속해서 보완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