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세를 잡기 위해 '특단의 대책'을 발표한 가운데,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병상을 확보하고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가 줄면 일상회복 전환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정 청장은 이날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정례브리핑에서 "병상을 확보하고 신속한 접종으로 위중증 환자와 확진자 규모를 줄이는 세 가지의 노력이 어우러져서 통제 가능한 범위 내로 들어온다면 조치 완화나 일상회복으로의 전환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병상 확보를 위해 7차례의 행정명령을 내린 바 있다. 지난 12일 기준 중증환자 병상 목표치(1014개)의 54.2%를 달성했다. 정부는 연말까지 83% 정도를 확보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등증병상은 목표한 2358병상 중 80.6%를 달성했으며 연말까지 99.8% 확보할 것으로 예측된다.
정 청장은 "행정명령이 적극적으로 현장에서 시행될 수 있도록 저희들이 병원별로 1:1로 밀착관리를 하도록 하겠다. 수도권에 코로나19 환자만 보는 거점전담병원도 대폭 확대하겠다"고 했다.
격리해제자를 전원 수용할 수 있는 병원에 3배의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증상이 호전되고도 퇴원이나 전원을 거부하는 환자에 대해서는 안내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정 청장은 강화된 방역조치로 기대하는 확진자 수, 위중증 환자 수, 사망자 수 목표치에 대해서는 확답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