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시민단체들이 부족한 코로나19 병상 확보를 위해서 대형민간병원이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좋은공공병원만들기운동본부 등 시민단체들은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병상과 의료인력 확보가 난항인 이유는 팬데믹 상황에서 오로지 돈벌이만 생각하는 대형민간병원의 비협조와 정부의 눈치 보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건강보험심사평권의 자료를 인용하며 "국내 42개 대형종합병원에 꼭 입원해야 할 중환자는 32%, 빅5 병원의 경우 45%에 불과하다. 이는 비응급, 비중증 환자 진료를 조금 미루면 병실 10~20%를 비우는 것이 당장 가능하다는 뜻"이라고 주장했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등 대권 주자들의 기존 공공병원 활용 대책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현실성이 떨어지며 오히려 공공병원에만 책임을 떠넘겨 사회적 약자들을 거리로 내몰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보라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공동대표는 "지금 서울시 산하 병원들은 거의 모두 코로나진료에 동원돼 일반진료를 하지 못하고 있다"며 "노숙인 등 이제 사회적 취약계층이 다닐 수 있는 공공병원은 국립중앙의료원밖에 남지 않았다. 더 이상 쥐어짜낼 병상이 없는 상태"라고 전했다.
이어 "45개 상급종합병원을 10% 동원하면 약 5000개 병상을 확보할 수 있다. 당장 공공의료 확충계획을 발표해 공공병원 의료진들의 사직을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최규진 인하대 의료인문학교실 교수는 "얼마나 더 많은 의료인이 갈려나가야 대책다운 대책이 나오는 것이냐"며 "정부와 국회, 대선후보들은 지금이라도 민간병원을 동원하고 공공병원, 의료인력 확충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