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아파트 매수심리가 전국적으로 얼어붙고 있다. 서울에서는 전세도 공급이 수요를 앞서는 상황이 됐다.
1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2월 첫째 주(6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99.2로 지난주(100.1)보다 0.9포인트 떨어지며 지난해 6월22일(99.9) 이후 약 17개월 만에 매도 우위로 돌아섰다.
서울의 매매수급지수는 96.4로 4주째, 수도권은 98.2로 2주째 기준선인 100 이하를 밑돌고 있다. 매매수급지수는 0~200 사이에서 0에 가까울수록 을 팔려는 '매도자'가 사려는 '매수자'보다 많은 상황을, 200에 가까울수록 '매수자'가 '매도자'보다 많은 상황을 뜻한다.
그간의 집값 급등으로 매수자들이 접근할 수 없는 가격이 됐고,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총량관리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대출마저 여의치 않아지자 시장이 관망세로 돌아선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 5개 권역 모두에서 수치가 100을 하회했지만 지역별 편차는 있었다. 강남·서초·송파·강동이 속한 동남권(97.3)이 가장 높았다. 양천·강서 등이 포함된 서남권(97.2), 용산·종로 등 도심(96.1)권, 마포·은평 등 서북권(95.6), 노원·도봉·강북 등 동북권(95.3)이 그 뒤를 이었다.
집값이 하락하고 있는 세종(93.4→88.1)은 지난주보다 5포인트 넘게 떨어지며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역시 하락세인 대구(89.4→88.7)가 두 번째로 낮았다. 부산(98.6), 울산(97.3), 전남(94.2)도 기준선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한편 서울에서는 전세수급지수(99.1)도 2019년 10월21일(99.9) 이후 약 26개월 만에 100을 하회하며 공급이 수요를 앞섰다.
서북권이 102.4에서 98.0으로, 동북권이 지난주 101.1에서 99.8로 내려앉았다. 동남권(97.5→97.0), 도심권(99.0→96.1)도 수요보다 공급이 많았다. 다만 서남권은 지난주 99.5에서 100.4로 반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