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총리, 수도권 의료대응 병원장 간담회 열어
"일상회복 멈출까 걱정…위중증 환자부터 치료"
"환자 상태 호전되면 신속하게 회복병상 전원"
"인력부족 병원 빠르게 지원하도록 힘 보탤 것"
"고령층 추가접종도 시급…고위험군 접종 총력"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김부겸 국무총리는 19일 위중증 환자부터 중환자 병상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병상관리 체계를 개선하고, 수도권과 비수도권 중환자 병상을 통합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수도권 의료대응 병원장 간담회을 열고 "예상은 했지만 단계적 일상회복 이후, 확진자 수가 10월에 비해 30% 가까이 늘어난 가운데, 이 중 80%가 수도권에서 나오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김 총리는 "특히 요양병원이나 시설에서의 집단감염이 부쩍 늘었다. 고령층 중심으로 돌파감염이 눈에 띄게 증가하면서 수도권의 병상 부족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며 "어렵게 시작한 일상회복의 여정도 잠시 멈출 수 밖에 없는 것 아닌가 하는 걱정이 있다"고 했다.
이어 "무엇보다도, 부족해진 병상을 신속하게 확충하는 일이 우선"이라며 "각 의료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과 장비를 발 빠르게 지원하면서, 현재 확보 중인 병상들이 최대한 빨리 가동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우리가 보유한 의료자원을 한층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하겠다"며 "위중한 환자부터 중환자 병상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태가 호전되면 신속히 회복병상으로 전원될 수 있도록, 병상관리 체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수도권, 비수도권 간 경계 없이 중환자 병상을 통합적으로 관리해 나갈 것"이라며 "당장 심각한 인력부족을 호소하는 병원에는 최대한 빨리, 필요한 의료인력을 지원함으로써 생명을 구하는 일에 힘을 보태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 총리는 "의료체계의 부담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서는 고령층의 '추가접종'이 시급하다"며 "이를 위해 정부는 접종주기를 과감하게 단축했다. 고위험군이 최대한 빨리, 더 많이 접종받도록 총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김 총리는 "현장의 의료진 여러분께서는 단계적 일상회복이 시작된 이후, 오히려 더 많은 희생을 요구받고 있다고 알고 있다"며 "더 힘들어진 여건 속에서도 묵묵히 이를 감당해주고 계신 의료진 여러분의 헌신과 노고에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표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