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중기부, 시스템반도체 중소 팹리스 지원...IP플랫폼·묶음발주·공동사업

한지혜 기자  2021.11.18 16:03:20

기사프린트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시스템반도체 분야 중소 팹리스 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이 강화된다.

팹리스는 시스템반도체 산업에서 칩(Chip) 생산은 주로 대기업이 영위하는 파운드리에 위탁하고 설계에만 집중하는 설계전문기업이다.

정부는 공동 IP(설계자산) 플랫폼, 팹리스 랩허브(Lab Hub), 대중소 상생협의체를 구축한다. 또 내년에 묶음발주와 컨소시엄형 기술개발사업을 도입한다.

정부는 18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에서 제16차 빅(BIG)3 혁신성장 추진회의를 열고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가 마련한 'K-반도체 전략 이행을 위한 시스템반도체 중소 팹리스 지원방안'을 논의하고 추진하기로 했다.

중기부에 따르면 시스템반도체는 다품종 소량 생산의 특성과 연구개발 중심의 경쟁력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주로 벤처·스타트업인 팹리스가 미래 먹거리 창출을 주도할 수 있는 분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팹리스 산업은 초기 투자비용이 높고 안정적인 판로확보도 어려워 국내 기업 수가 감소하고 있다. 영세성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정부지원 확대가 요구돼 왔다. 특히 내년부터 국내 파운드리의 시제품 공정이 축소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팹리스 업계를 중심으로 우려가 높은 상황이다.

권칠승 중기부 장관은 "이번 대책은 대중소 상생으로 중소 팹리스의 파운드리 수급난을 낮추고 설계부터 생산·판매에 이르기까지 촘촘하게 중소 팹리스에 대한 전(全) 주기 지원체계를 갖춘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내년에 '공동 IP 플랫폼'(Common IP Bank)을 구축해 IP 국산화 개발과 해외 IP 구매·제공의 플랫폼으로 운영한다. 초급인력 양성을 위한 단기 교육과정을 내년 상반기에 신설하고 팹리스 창업기업 보육과 실습공간을 한 곳으로 연계한 '팹리스 랩허브'(Lab Hub)도 만든다.

정부는 팹리스의 기술개발 결과물에 대한 정당한 가치를 평가해 자금조달을 촉진하고 유망 창업기업에 사업화 자금(최대 10억원) 등의 지원을 확대해 나간다.

팹리스 창업기업에 대한 정부지원 강화를 통해 2030년까지 국내 팹리스 기업이 지금보다 2배(300개) 가량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중소 팹리스의 파운드리 활용 여건도 개선된다. 중기부는 여러 팹리스가 공동으로 발주하는 '묶음발주'를 내년에 도입한다. 이를 위해 파운드리와 협력관계를 가진 디자인하우스가 참여한다.

국내 모든 파운드리 기업이 참여하는 시스템반도체 분야 '대중소 상생협의체'가 내년 1월부터 가동된다. 이 협의체를 통해 팹리스의 연간 시제품 위탁 수요를 정기적으로 조사해 파운드리 공정에 반영한다. 중소 팹리스와 파운드리와의 협력과제도 발굴한다.

정부가 시설과 장비를 지원해 구축한 공공나노팹의 기능도 강화한다. 내년 하반기 예정된 나노종합기술원(대전)과 한국나노기술원(수원) 등의 기능 고도화가 완료되면 중소 팹리스의 시제품 수요도 일부 충족될 것으로 보인다.

대·중견기업과의 협력 플랫폼이 조성된다. 중기부의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이 시스템반도체 분야로 확대돼 운영된다. 이미 8개 과제가 발굴됐다. 내년부터 본격 지원될 예정이다.

수요를 확보한 중견 팹리스 기업 등의 R&D(연구개발) 과제에 4개 이내의 중소 팹리스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컨소시엄형 기술개발사업'도 내년부터 도입된다. 그동안 단기·소액의 개별 기업 지원에 대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중기부가 내년에 10개 과제를 선정해 4년간 최대 40억원의 R&D자금을 지원한다.

중기부 관계자는 "이번 지원방안이 현장에 제대로 안착될 수 있도록 대중소 상생 노력을 더욱 강화하고 관련부처와도 긴밀히 협의해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