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문 대통령 "강군 되려면 장병 복지·인권보호·성평등 문화도 필요

홍경의 기자  2021.11.17 01:59:35

기사프린트

 

육·해·공·해병대 준장 진급자에 '견위수명' 책임감 강조
"종전선언은 외교 몫…군 몫은 힘으로 뒷받침하는 것"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6일 지난해 하반기 군 장성인사 때 대령에서 준장으로 진급한 육·해·공군, 해병대 장성 76명에게 "강군이 되려면 첨단무기 뿐 아니라 장병 복지, 인권 보호, 성평등 문화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주재한 삼정검(三精劍) 수여식 후 비공개 환담에서 "2017년 취임 직후 한반도 평화가 심각한 위기에 처했지만, 강한 국방력과 강한 안보로 평화를 지켜 왔다. 종전선언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외교의 몫이지만, 국방의 힘으로 뒷받침하는 것은 군의 몫"이라며 이렇게 말했다고 박경미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에서 전했다.

 

고(故) 이예람 중사 사망 사건이 논란됐을 당시 군 당국이 또 다른 성추행 사망 사건을 은폐·축소하려 했다는 전날 군인권센터 폭로와 개연성 있는 당부로 풀이된다. 군 인권 문제가 여전히 심각하다는 지적에 에둘러 개선된 군 문화 정착을 위해 힘써 줄 것을 주문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수여식 행사의 부제였던 '이로움을 보았을 때 정의를 생각하고 위태로움을 당했을 때는 목숨을 바치라(견리사의 견위수명·見利思義 見危受命)'는 안중근 의사의 유묵(遺墨)을 설명하며 "책임감으로 사명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또 "지금까지 평화를 지키고 경제를 발전시켜 온 것은 전적으로 우리 군이 국가와 국민을 든든하게 지켜왔기 때문"이라며 "군 지도자이자 사회의 지도자인 장성으로서 국가에 위태로움이 오지 않도록 먼저 살피고, 국가가 위기에 처하면 이를 극복하는 데 앞장서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장군 진급의 상징인 삼정검에는 육·해·공 3군이 하나 되어 호국·통일·번영이라는 3가지 정신을 발휘해 달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이전 정부까지는 통상 대통령이 3성 장군인 중장 이상 진급자에게만 삼정검을 수여해 왔지만, 문재인 정부 들어서는 국방부 장관이 대신해오던 준장 진급자를 위한 삼정검 수여식 행사를 별도로 주재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군인의 길을 걷는 사람에게 처음으로 별을 달고 진급한다는 것만큼 가슴 뜨겁게 벅차고, 영광스러운 순간은 없을 것"이라며 이전 정부에서 국방부 장관이 대신했던 삼정검 수여를 우리 정부 들어 직접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고 박 대변인은 전했다.

 

백신수송지원본부 총괄부장 육군 하헌철 준장은 "초국가적인 위협에 대응해 백신을 수송하면서 군인이 국가와 국민을 위해 존재한다는 것을 느꼈다"고 말했다. 홍범도 장군 유해 봉환에서 실무를 지원한 해군 박태규 준장(진)은 "대한민국의 자존심을 지켰다"는 소회를 밝혔다.

 

합참 작전3처장으로 아프가니스탄 조력자 이송 작전을 수행했던 김진오 공군 준장(진)은 "국가정책을 지원하고, 싸우면 반드시 이기는 국군으로 거듭나겠다"고 약속했다.

 

제73주년 국군의 날 기념식에서 해병대 주도의 합동상륙작전 시연을 성공적으로 선보인 정종범 해병대 준장(교육훈련단장)은 "무적해병의 정신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군으로 성장시켜 나가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