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정부가 코로나19 유행 양상을 감안해 추가접종(부스터샷) 간격을 5개월보다 더 단축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거듭 밝혔다. 고령층 감염 증가 추세를 살필 때 접종 후 면역력이 저하되는 시점이 예상보다 이르다는 판단에서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16일 오전 기자단 설명회에서 전날 권덕철 장관의 추가접종 간격 조정 언급 관련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권 장관은 전날 현행 6개월인 추가접종 간격을 요양시설 등에 적용 중인 5개월보다 짧게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손 반장은 "현재 고령층 감염이 증가하고 있는 양상을 볼 때 면역력이 저하되는 시점이 5개월보다 더 빠른 것 같다는 판단이 든다"며 "추가접종 간격을 단축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을 피력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정부의 이같은 입장은 최근 집단감염이 요양병원·시설 입소·입원·종사자 등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상황 등을 고려한 것으로 읽힌다.
현행 접종 간격을 유지할 경우 고위험군인 60대 이상 고령층의 경우 8월12일부터 2차 접종을 시작해 추가접종을 받으려면 내년 2월까지 기다려야 한다. 일부에선 완전 접종 이후 감염되는 돌파감염 등을 고려해 추가접종 간격을 단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계속되고 있다.
정부는 현재 질병관리청, 전문가 등과 관련 내용을 논의 중에 있으며 오는 18일 오후 추가접종 간격 조정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손 반장은 "현재 질병청에도 (추가접종 간격 단축)의견을 전달한 상태"라며 "결정 권한 자체는 질병청에서 전문가들과 논의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필요성과 문제점 등을 논의 후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