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환경 당국이 산업용 요소수를 차량용으로 전환하는 방안에 대해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당국은 추후 산업용 요소수 2종, 대형 경유 차량을 대상으로 추가 시험한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산업용 요소수를 차량용으로 전환할 수 있는지 실험한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차량용 요소수 품귀 사태 이후 지난 2일부터 11일간 요소수 용도 전환에 따른 환경성과 적합성 등을 시험해 왔다.
우선 제철소나 화력발전 등에 쓰이는 비차량용 요소 6종의 농도를 32.5% 내외로 조절해 차량용 요소수 6개 시료를 만들었다.
이후 중·상 수준의 알데히드 농도를 가진 시료 2개(시료1~2)를 '2021년식 기아 봉고3'(배기량 2500㏄) 차량 요소수 탱크에 각각 주입한 후 주행 시에 나오는 배출가스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등의 배출량은 대기오염물질 규제 기준을 넘지 않았다.
시중에 판매 중인 차량용 요소수와 비교한 결과 대기오염물질 배출 농도가 대체로 비슷했다.
두 시료를 넣은 차량의 일산화탄소 배출량은 각각 0.036g/㎞, 0.029g/㎞였다. 차량용 기준과 비교하면 시료1은 10% 적었고, 시료2는 같았다. 질소산화물 배출량은 각각 0.056g/㎞, 0.059g/㎞로, 차량용과 비교해 각각 5.7%, 6.4% 많았다.
경유차 기준이 없는 알데히드의 경우 시료1 배출량은 0.493㎎/㎞로, 차량용(0.55㎎/㎞)보다 7.9% 적었다. 반면 시료2의 알데히드 배출량은 0.549㎎/㎞로, 차량용(0.458㎎/㎞)보다 19.8% 많았다.
이번 실험 결과를 놓고 요소수 제조업체, 자동차 제작사, 대기환경전문가들은 환경적 영향과 질소산화물 환원촉매장치(SCR) 안전성 등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추가 시험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산업용 요소수가 성분 함량에 많은 차이가 있는 만큼 적용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에 국립환경과학원도 이번 시험만으로 비차량용 요소수의 적용성을 평가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추후 알데히드 농도가 더 낮은 시료 2개를 대상으로 추가 시험할 예정이다. 또 3.5t급 마이티 트럭을 대상으로도 기술 검토를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