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길 "생산기지뿐 아니라 통로가 될 것"
윤호중 "백신 여권, 마스크 해제 등 도입"
전혜숙 "의원들이 접종 앞장서자는 말도"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4일 한미 공동성명에서 '백신 글로벌 포괄적 파트너십'을 구축한 데 대해 "대한민국이 전 세계 인류의 건강을 지키는 백신 생산기지로 위상을 만들어낸 쾌거"라고 밝혔다.
송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백신·치료제특별위원회 첫 회의에서 이같이 말하며 "(문재인) 대통령께서 확고한 생각을 갖고 준비해 드디어 성과가 나오게 됐다. 진심으로 축하한다"고 전했다.
이어 "SK바이오사이언스가 노바백스와 합의한 것은 이번 코로나19 백신뿐 아니라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대응, 코로나19 독감을 함께 예방할 콤보 백신 개발까지도 같이 한 것으로 우리 국민에 커다란 낭보"라며 "삼성바이오로직스도 모더나와 (위탁 생산에) 합의됐다. 생산된 약물을 기초로 협력한다면 아주 발전되고 일부 국내 공급도 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그렇게 되면) 국민에게도 단순히 생산기지뿐만 아니라 노바백스처럼 생산된 것이 국내에도 공급될 수 있는 통로가 만들어질 것"이라며 "바이든 행정부와 맺은 파트너십 합의는 국민뿐 아니라 인근 국가에도 큰 기여하는 대한민국의 위상을 보여주는 계기가 됐다"고 덧붙였다.
윤호중 원내대표는 "앞으로 한미 간 협력 관계가 코로나19를 세계가 극복해 나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길 기대하고, 대한민국의 집단면역이 하루빨리 이뤄지는 데 큰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해외에서도 하고 있는 백신 여권, 마스크 의무 해제 등 여러 가지 인센티브 제도를 우리 실정에 맞게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백신 특위 위원장인 전혜숙 최고위원도 "백신 수급이 차질 없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제는 접종률을 어떻게 높일지가 과제"라며 "백신 접종자의 자가격리 면제, 집합금지규제 면제, 10시 이후 출입제한 면제, 문화·체육시설 자유 입장 등 (백신 인센티브)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집단면역 형성을 위한 백신 접종 방안으로 인센티브 제도가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전 최고위원은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아스트라제네카(AZ)에 대해 이상 반응이 상당히 줄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많은 분들이 불안해하며 맞지 않으려 하시기 때문에 치료·예방접종 시설에 적극적으로 표준화해서 문제가 있을 땐 바로 일선에서 처치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하자는 이야기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정부 측에) 백신이 헛되이 낭비되면 안 되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접종을 맞고자 하는 분들에 대해서 연령 제한 없이 풀자는 건의를 했다"며 "60세 이상 1회 접종률 100%가 사망 예방, 89.5%가 감염 예방의 효과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접종을 많이 안 해서 의원들이 백신 접종 운동에 앞장서자는 이야기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는 당에선 송 대표, 윤 원내대표, 전 위원장을 비롯해 박완주 정책위의장, 김성주 총괄본부장과 특위 위원들이, 정부 측에선 윤창렬 국무조정실 2차장과 강도태 보건복지부 2차관, 나성웅 질병관리청 차장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