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경선 1위'한 김용민 최고위원 대선 경선 연기 주장에 "원칙 지켜야'

홍경의 기자  2021.05.03 09:48:47

기사프린트

 

강성당원 문자폭탄 논란엔 "의사표시 당연히 권장돼야"
"진중권 손배 청구와 모순 안돼…허위사실 적시 있었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경선에서 1위를 차지한 김용민 수석 최고위원이 3일 당 내 일각에서 거론되는 대선 경선 연기 주장에 대해 "기본적으로 원칙을 지켜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 출연해 "각자의 이해관계가 엮어있을 수도 있다. 판단이 잘 안 서는 문제일수록 원칙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원칙을 통해 신뢰를 회복할 수도 있다. 원칙을 훼손시키는 방향으로 가다 보면 그게 특정인에게 유리하냐, 불리하냐고 해서 오히려 당이 분열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상황에서는 원칙을 지키는 게 중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강성 당원들의 단체 문자행동을 독려해 같은당 조응천 의원의 비판을 받은 것에 대해선 "적극적으로 의사를 표시하는 분들의 의사 표시는 당연히 권장돼야 될 일"이라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조 의원은 지난 1일 페이스북에 '정치인으로 감수해야 될 일이라면서도 소송으로 대응한 사람도 있다'고 적었다. 김 의원이 자신을 '조국 똘마니'라고 언급한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해 1심에서 패소한 것을 꼬집은 것이다.

 

이에 대해 김 최고위원은 "적극적인 의사표시를 권장해야 한다는 것과 모순되지 않는다. 제가 소송을 했던 것은 허위사실 적시가 있었기 때문"이라며 "공개적으로 허위사실을 적시하거나 모욕적 표현을 하는 것과 문자를 통해 개인에게 도달하게 하는 것은 법적 평가가 완전히 다르다"고 항변했다.

 

이어 "항소를 할까 많이 고민했다가 더 끌고 가서 논란을 키울 필요는 없겠다 싶어서 포기했다"며 "사실 승소 자신은 있었다"고 했다.

 

김 최고위원은 검찰 및 언론개혁도 중단 없이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제가 개혁을 굉장히 강하게 약속드렸던 것에 응답해 권리당원과 일반 여론조사가 굉장히 높게 나왔다"며 "근데 사실 대의원 투표에는 꼴등을 했다. 당 내 주류라 부를 수 있는 조직된 표심과 민심 혹은 당심의 권리당원과 일반 국민의 의지는 약간 괴리가 있지 않나"라고 해석했다.

 

이어 "검찰과 언론을 개혁하지 못하면 눈에 보이지 않는 수많은 개혁 과제들, 특히 불공정 해소를 할 수 있을지 불신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눈에 보이는 개혁 과제부터 따박따박 해야 한다"며 "검찰의 수사, 기소 분리로 신속하게 개혁을 완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언론개혁에 대해선 "가짜뉴스를 통해 민의와 여론을 왜곡하는 현상을 어떻게 규제 혹은 개선할 것인가. 또 언론 보다 훨씬 영향력을 가진 포털사이트의 편향성 문제를 어떻게 개선해 기울어지지 않은 운동장으로 만들어놓을 것인가 2가지 방향에서 논의되고 있다"고 방향성을 제시했다.

 

전날 문재인 대통령이 민주당 전당대회 축사에서 단합을 강조한 것에 대해선 "저도 비슷하게 봤다. 국민 통합도 상당히 중요한 과제"리며 "그것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도 개혁 과제들은 놓치지 않고 해야 한다"고 했다.

 

보궐선거 원인이 민주당에 있을 경우 후보를 공천하지 않는 쪽으로 당헌당규를 재개정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선 "당연히 나올 수 있고 경청해야 하는 목소리"라면서도 "민심인지 당심인지 사실 아직 크게 확인이 된 것도 아니기 때문에 이게 진짜 문제였는지 철저한 분석이 필요하다. 당과 좀 더 논의가 필요하다"며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김 최고위원은 상대적으로 계파색이 옅은 송영길 대표를 제외하고 최고위원들이 친문 일색으로 꾸려진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선 "어제 저희가 선거가 끝나고 제일 먼저 강조한 것이 화합이었다"며 "친문이라고 표현하는 부분들이 모두 합의하고 동의할 수 있는 내용인지는 다들 약간의 의문을 갖고 있다.

 

1,2위 최고위원 모두 개혁 성향이 강한 후보를 당선시켜준 것을 보면 계파나 조직 보다 개혁이 필요하다는 것에 (유권자들이) 동의해준 것"이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