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생명 달린 방역에 힘 모아달라" 당부
국민 생명 대책은 '과부족'보다 '과잉' 해야
[시사뉴스 황수분 기자]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중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도입 관련해 "중국 백신은 현재 상태에서 전혀 도입 고려 대상이 될 수 없다"라고 말했다.
이 지사는 2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일부 언론이나 국민의힘이 백신 확보를 위한 정부의 치열한 노력을 두고 난데없이 '중국 백신까지 도입하겠다는 거냐'는 비난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현재까지 발표된 바에 의하면 중국 백신인 시노팜의 예방효과가 79.34%에 그쳤고, 시노백은 국가마다 차이가 큰 데다가 브라질 같은 곳에서는 50.38%에 불과하다고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럼에도 마치 스푸트니크를 도입하면 중국 백신도 따라 들어오는 것처럼, 마치 러시아 백신 도입이 한미동맹에 반하기라도 하는 것처럼 국민의 불안감을 부추기는 여론몰이를 하고 있다. 국민 건강을 두고 백신패권 대결에 편승하거나 이념대결과 편가르기에 나서면 안 된다. 정략을 떠나 국민의 생명이 달린 방역에 힘 모아달라"라고 당부했다.
이 지사는 '지금까지 확보한 백신 외에도 백신 추가확보 가능성을 모색 중'이라고 밝힌 정부의 방침이 전적으로 타당하다며, 코로나19 백신 수급 관련해 국민생명 대책은 '과부족'보다 '과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가 화이자 백신 2000만명분을 추가 확보하면서 하반기 백신 접종 일정에 한 숨 돌릴 수 있게 됐다. 1380만 도민의 건강과 생명을 책임진 경기도 행정관으로서 백신 확보를 위해 애쓰신 범정부 TF 관계자들께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1차 방어선은 최대한 튼튼해야 하지만 전쟁을 대비하는 국방처럼 최악을 대비한 2차 3차 방어선은 비용이 들고 낭비처럼 보여도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며 "국제사회 진영 간 백신패권 전쟁이 벌어지는 상황에서 유일 선택지만 남기게 되면 협상력이 떨어지는 점도 고려돼야 한다"라고 글을 올렸다.
그러면서 "칠흙 속 폭풍우 같은 상황에서도 어떻게든 길을 찾고 한걸음 앞 서 나아가는 것이 주권자들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은 공직자의 임무"라며 "경기도는 언제나처럼, 가정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을 대비하면서 백신 추가 확보를 위한 정부의 노력에 최대의 협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