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정부 "신속·효율 접종 위해 개개인 백신 선택권 부여 어려워"

홍경의 기자  2021.04.26 16:02:54

기사프린트

 

화이자 2000만명분 추가 도입…총 9900만명분
"감염 취약도·위험도 등에 따라 우선순위 정해"
"일정 맞게 접종 안하면 11월 접종 백신 불투명"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정부는 코로나19 백신 확보 물량이 늘어났음에도 국민 개개인에게 백신 선택권을 부여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접종 계획에 따라 단기간에 전 국민 접종을 마치려면 선택권을 줄 수 없다는 것이다.

 

보건 당국은 접종 일정에 맞게 예방접종을 하지 않을 경우 오는 11월 이후 어떤 백신을 접종할지 알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접종 계획에 따라 배정된 백신이 마음에 들지 않아 오는 11월 이후에 접종하더라도 원하는 백신을 선택할 수 없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추진단)은 26일 오전 국무총리 직무대행 대국민 담화 후 질의응답, 같은 날 오후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범정부 백신 도입 TF는 앞서 지난 24일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2000만명분(4000만회분) 추가 계약을 발표했다. 기존에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와 제약사와 개별 협상을 통해 확보한 7900만명분에 더해 총 9900만명분(1억9200만회분)을 올해 확보한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9배, 집단면역 형성을 위한 접종 목표 3600만명의 2.75배가량이다.

 

이처럼 백신 여유분을 추가로 구매 계약하자 일각에선 부작용 불안이나 접종 제한 연령 등을 고려해 접종률을 높이려면 백신 선택권을 부여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접종 후 드물게 보고되는 혈소판 감소증을 동반한 희귀 혈전증 등으로 접종률이 오르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백신 선택권을 검토한 적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기남 추진단 예방접종관리반장은 이날 오전 "도입되는 백신 물량에 따라서 단기간에 전 국민 대상으로 신속하게 접종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감염 취약도, 위험도 등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해 접종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반장은 이어 "전 국민 대상 접종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개인에게 백신 선택권을 부여하기보다 예방접종전문위원회를 통해 대상자별로 백신을 결정하는 체계를 계속 가져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당국은 접종 순위에 맞게 백신을 맞지 않고 오는 11월에 접종하더라도 원하는 백신을 선택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즉 접종 계획에 따라 배정된 백신이 마음에 들지 않아 접종을 거부하면 오는 11월 이후에나 접종할 수 있고, 원하는 백신을 맞을 수 없다는 것이다.

 

홍정익 추진단 예방접종기획팀장은 이날 오후 "젊은 층이 후순위로 가더라도 다른 백신을 맞을 수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면서도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사람이 예방접종을 거부하고 참여하지 않을 경우 다음번 예방접종은 다른 대상자가 접종한 후 11월 이후 4분기에 접종 기회가 온다. 그때 어떤 백신을 맞을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홍 팀장은 이어 "본인이 맞을 백신을 4분기 이후에 접종을 희망하더라도 선택할 수 없고, 주어진 백신에 따라 접종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비행 일정 등으로 지난 19일부터 진행 중인 접종 일정에 참여하지 못하는 항공 승무원에 대해선 "조기 접종 위탁의료기관을 운영하는 기간에 외국에 있는 항공 승무원들이 귀국 후 접종할 수 있도록 기간을 연장한다"며 "이후 6월에도 접종받을 수 있도록, 2분기 안에 접종받을 수 있게 예약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부와 당국은 앞서 여러 차례 백신 선택권을 도입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내놨다.

 

지난 1월28일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여러 종류의 백신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상황에서 백신 공급 일정에 따라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를 거쳐 접종자를 선정할 예정"이라며 "개인별 백신 선택권은 부여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도 지난 25일 "백신은 국민이 선택권을 가지지 못하는 시스템으로 운영한다는 방침에는 변화가 없다"며 "상반기 1200만명 고령층과 취약계층 예방접종으로 선택권 없이 계속 운영할 예정이고, 하반기도 현재까지 검토한 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