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낙동강유역환경청(청장 이호중)은 지난해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기업체 방문 점검이 조심스러운 가운데 드론을 이용한 샘플채취, 대기오염 측정차량 등 활용하여 대기오염물질 배출의심사업장 348개소를 선별·특별점검한 결과, 44개 업체를 적발했다.
코로나로 인한 대면 점검이 어려워 비대면 점검 방식인 첨단장비(드론 및 이동측정차량)를 활용하여 산단지역에 대하여 오염도 분석을 실시했다.
주요 위반사례는 배출허용기준 초과, 오염물질 자가측정 미이행, 대기방지시설 미가동, 방지시설에 딸린 기계·기구류 고장 등이다.
이는 부·울·경 지역의 배출원이 밀집한 관내 주요 산업단지 및 비산배출시설에 대하여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실시간 분석하는 이동측정차량을 활용해 추적·감시하는 스크리닝의 결과다.
이번에 확보한 측정정보는 미세먼지·대기오염물질 배출원 등 지역 대기질 관리에 적극 활용하도록 지자체 등 관계기관에 제공하고, 지속적으로 DB화하여 관리할 계획이다.
주요 측정물질은 부산의 경우 디클로로메탄, 메틸에틸케톤, 메탄올이 울산은 폼알데하이드, 메탄올, 디클로로메탄이 경남은 황화수소, 폼알데하이드, 메탄올이 배출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참고로 대기오염 측정차량은 벤젠, 페놀 등 대기환경보전법의 배출허용기준이 설정된 물질과,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등 악취방지법의 지정악취물질 22종에 대해 측정이 가능하다.
낙동강유역환경청 이호중 청장은 “2021년에는 이동측정차량 외에 드론 등의 첨단장비를 활용하여, 스크리닝 대상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며, “배출원이 밀집한 주요 산업단지, 악취 등 환경민원 빈발 주거지역 인접 산업단지, 대기질 정보가 미흡한 산단지역 등의 감시를 강화하는 등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맞춤형 대책을 적극 추진하겠다”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