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 교육감협 거쳐 대정부에 건의
"학교교육 기준인 '교육과정 총론'에 포함을"
[시사뉴스 김도영 기자] 서울시교육청이 내년 초·중·고 새 교육과정에 평화, 세계시민성, 지속가능성의 가치를 학교 수업에서 적극 다루자는 방안을 정부에 건의한다.
교육청은 지난 18일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교육감협) 안건 의결로 '2022 국가 교육과정 개정 시 평화, 세계시민성, 지속가능성 총론 반영'을 정부에 건의한다고 21일 밝혔다.
교육과정 총론은 공교육에서 진행하는 교육을 위한 일종의 규범으로 작용한다. 향후 교과서 제작이나 학교 수업 내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번 제안은 코로나19, 혐오와 차별, 교육과 사회경제적 불평등, 각자도생 논리와 생명 경시, 기후위기 등 인류가 직면한 과제를 대응하는 미래 역량을 기르자는 취지를 담았다.
교육청이 말하는 평화와 세계시민성은 유엔(UN)의 지속가능발전 목표(SDGs)에 담긴 개념을 포괄한다.
SDGs 4항 '포용적이고 공평한 양질의 교육 보장 및 모두를 위한 평생학습 기회 증진' 항목을 보면 오는 2030년까지 인권, 양성평등, 평화와 비폭력의 문화, 세계시민의식, 문화적 다양성 등을 가르치고, 모든 학습자가 이를 위한 기술과 지식을 획득하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교육청은 분단된 한반도 상황에서 특히 남북한이 세계 평화에 적극 이바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평화와 세계시민성을 학교 교육에서 더욱 강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구체적으로 교육과정 총론에서 제시하는 '인간상'에 '세계 시민으로서 평화를 실천하고 생태친화적인 삶의 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세계평화와 지속 가능성에 이바지하는 사람' 항목을 추가한다.
'핵심 역량' 항목에는 평화와 지속가능성 역량을 정의한다. '평화'는 개인부터 세계 차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갈등과 폭력, 구조를 인식하고 비폭력적 방식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역량, '지속가능성'은 생태적 감수성을 기르고 생태 친화적인 삶과 행동 양식을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말한다.
아울러 새 교육과정에서 사회 정의, 불평등의 완화, 소외계층이나 소수자 포용,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생태 전환을 적극 다뤄야 한다고 함께 건의한다.
내용이 반영되면 학생들은 수업에서 불평등, 차별, 생태계 파괴는 잘못이며 이에 맞서는 사회정의, 포용, 생명 존중 등의 개념을 지향하는 교육을 받게 된다.
교육청은 지난 1월 교육감협 총회에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노동교육 요소를 균형있게 다루자는 안건을 제안해 가결, 정부에 공식 건의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