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외국인, 검사기피 등 방역취약 요소 상존"
정부도 "차별 아닌 외국인 적극 검사 방안의 조치"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시가 19일 '외국인 근로자 코로나19 진단검사 의무화'를 놓고 불거진 차별 논란에 대해 "차별이라기보다 집단에 대한 안전성 확보 조치 차원"이라면서 검사에 적극 임해줄 것을 거듭 요청했다.
송은철 서울시 감염병관리과장은 이날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에서 "외국인 노동자는 특히 미등록 외국인 등으로 인해 실태 파악이 어렵고 검사를 기피하는 등 방역 취약 요소가 상존하고 있어 진단검사 명령을 내리게 됐다"며 이 같이 밝혔다.
앞서 '수도권 특별방역대책' 발표 당시 서울시는 외국인 근로자 1인 이상 고용주와 외국인 근로자 모두에게 임시선별검사소를 통해 진단검사를 받을 것을 행정명령했다.
최근 경기 남양주와 동두천 등 수도권 지역의 외국인 근로자 사업장을 중심으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확산하면서다. 외국인 근로자 대상 진단검사는 오는 31일까지 실시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른바 '화이트컬러' 외국인 근로자는 대상에서 제외되고 공장에서 근무하는 외국인 근로자들만 검사를 받게 되면서 차별적인 조치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여기에 주한 영국대사도 불만을 표출하면서 논란은 더욱 확산되는 모양새다.
이에 대해 송 과장은 "올해 1~3월 현재까지 확진자 중 외국인 근로자 비율은 서울시가 6.3%로 지난해 12월 2.2%에 비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양상"이라고 했다.
그는 또 "수도권 내 남양주와 동두천 등 100명 이상 집단감염이 발생한 사례가 있고, 동일 생활권 내 서울시에서도 확산될 우려가 현저한 상황"이라며 차별인 아닌 불가피한 조치임을 재차 강조했다.
영국 외 다른 국가의 반응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다양한 곳에서 입장을 전달받고 있다"며 "의견을 잘 듣고 진행 상황에 참고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도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서울시 조치는 외국인을 차별적으로 대우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외국인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검사를 받기 위한 여러 방안의 조치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최근의 상황을 보면 수도권을 중심으로 외국인 근로자에서 2배 이상 확진자 비율이 증가한 측면도 있다"며 "지자체의 특성들을 감안해 행정적인 조치를 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현재 외국인 근로자 검사와 관련해서는 여러 문제가 제기되는 것 같다"며 "지자체와 상의해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은 해결하고, 수정 가능한 부분은 수정하는 등 계속 논의를 해나가겠다"고 했다.
한편 서울시가 지난 17~18일 이틀간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진단검사를 실시한 결과, 검사를 받은 외국인 근로자는 각각 4139명, 6434명으로 이 중 6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