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광주시민사회가 권력 장악을 위해 자국민을 무차별 학살한 미얀마 군부를 강하게 규탄했다. 미얀마가 민주 질서를 회복할 수 있도록 정부와 국제사회의 실질적인 조치도 촉구했다.
5·18민주화운동·종교·인권 등 30여개 단체로 꾸려진 '미얀마 군부 쿠데타 반대와 민주화 지지 광주연대(이하 광주연대)'는 11일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에서 발족식을 연 뒤 낸 성명에서 이같이 밝혔다.
광주연대는 "미얀마에서는 1980년 5월 광주의 학살이 되풀이되고 있다. 미얀마 군부는 권력을 빼앗기 위해 정변을 일으켰다. 현재 민주화를 열망한 미얀마 시민 70여 명이 군부의 야만적인 총칼에 학살됐다. 부상자는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다. 체포된 사람도 2000여 명에 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비무장 자국민을 대상으로 한 조준 사격과 희생자 탈취·은폐, 민주 인사와 시위 지도부에 대한 체포·고문,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행해진 무자비한 폭행, 진실을 가리기 위한 언론 통제, 특수 부대의 투입에 이르기까지 2021년 미얀마는 1980년 5월 광주의 판박이"라고 설명했다.
광주연대는 "광주시민들은 자국민의 생명을 빼앗는 미얀마 군부의 야만적인 폭력을 규탄한다. 미얀마 군부는 무차별 살상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호소했다.
또 "미얀마 민중이 민주주의 새날을 맞이할 수 있게 민·관·정과 전 세계의 민주적 양심 세력들이 함께하는 연대에 나서겠다. 정부는 죽음을 불사하고 투쟁에 나선 미얀마 민중을 지원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다해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또 "미얀마 시민들은 외교적·경제적 제재를 넘어 유엔군이 직접 나서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특정 국가가 집단학살이나 전쟁 범죄, 인종 청소, 반인륜 범죄 등 4대 범죄로부터 자국민을 보호할 책임을 다하지 않을 때 국제사회가 강제 조치 등을 해야 한다는 유엔 원칙이 있다. 국제사회는 미얀마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행동에 앞장서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