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 안국동 전철역 부근 어깨동무 분식집 주인 김정숙(42) 씨는 매달 가게 수익의 일부를 아름다운 재단에 기부하기로 결심했다. 아름다운
재단은 우리사회의 바람직한 기부문화 정착을 목표로 결성된 공익재단이다. 김 씨는 이 재단에서 운영하는 ‘나눔의 가게’에 동참한 것이다.
매달 매출의 1% 이상에 해당하는 현금이나 현물을 아름다운 재단에 기부하고, 재단은 이를 소외된 사람들과 공익활동에 지원한다.
“몰라서 못 했다”
“남들은 더 많이 도움을 주고, 몸으로도 실천하는데 내가 조금 보태는 것이 뭐가 그리 대단하다고….”
김 씨는 자신의 행동이 별 대수롭지 않은 거라고 겸손해 한다. 하지만 가게가 학교 주변에 있지 않아서 12월부터 2월까지는 현상유지도 힘들다는
어깨동무. 사정이 뻔하다. 더군다나 1개월여 전, 인근에 분식집 체인점이 생겨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체인점에서는 김밥이나 떡볶이를 어깨동무의
반값 수준에 판매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나눔에 참여했다는 것은 결코 쉽지만은 않은 결정이었을 터다.
김 씨는 매해마다 송년회 모임을 통해 해외에 어린이 구호기금으로 조금씩 기부를 해오고 있는 중이다.
“송년회에서 먹고 마시며 돈을 쓰느니, 음식값에 들어갈 돈을 떼어 보내면 전쟁과 기아로 죽어가는 어린아이들 몇 명은 살릴 수 있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막상 우리나라의 어려운 사람들에게 나눔의 정을 베푸는 것에는 자주 참여하지 못 했던 게 사실이다. 연말연시나 국가적인 큰 재난을
당했을 때, 방송사의 ARS 모금행사에 가끔 전화를 걸어 도움을 주기는 했지만 항상 마음에 걸렸다. 정기적으로 도움을 주고 싶어도 방법을
몰랐다.
김 씨가 ‘나눔의 가게’ 일원이 된 것은 단골 손님의 권유에 의한 것이었다. 그 손님은 다름 아닌 아름다운 재단에 근무하는 직원. 어깨동무에서
멀지 않은 곳에 아름다운 재단이 있어서 직원들이 자주 식사하러 온다. 어깨동무 손님의 80%는 이런 단골손님들. 생명보험회사에 근무한다는
어떤 손님은 회사 근처에도 분식집이 많지만 “맛이 기가 막혀서 꼭 이곳만 찾는다”고 전했다.
김 씨는 아름다운 재단 직원에게 흔쾌히 ‘나눔의 가게’에 동참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굳이 1%의 기부를 고집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많이 벌면 많이 내고 적게 벌면 적게 내자는 취진데, 그렇다면 요즘처럼 장사가 안 되는 시기에는 기부를 중단해야 하잖아요. 우리야 맨
쌓아 놓은 게 먹을 것들인데, 기부 좀 한다고 굶어 죽기야 하겠어요?”
치과 간호사 일을 그만두고 1997년 5월 문을 열 때부터 도움을 준 4명의 어깨동무 식구들도 다들 김 씨의 생각에는 동감이다.
그는 아름다운 나눔의 문화가 활짝 펴서 어려운 사람들의 얼굴도 환하게 만들 수 있었으면 하고 소망하고 있다.
김동옥 기자 aeiou@sisa-news.com
‘나눔의 가게’ 참여 문의 아름다운재단(www.beautifulfund.org) TEL : 02)730-12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