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김미현 기자] 일제 치하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관련 소송을 이끄는 단체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이 15일 논평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를 비난하고 나섰다.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은 제77주년 광복절인 이날 논평을 내고 "한·일 간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문제가 가장 큰 현안이 되고 있지만 윤 대통령은 경축사에서 광복 77년을 맞도록 사죄 한마디 듣지 못한 일제 피해자 문제에 대해서는 단 한마디 언급조차 없었다"고 비판했다.
이어 "윤 대통령이 '한일 관계가 보편적 가치를 기반으로 양국의 미래와 시대적 사명을 향해 나아갈 때 과거사 문제도 제대로 해결될 수 있다'고 했지만 이 역시 공허하기 짝이 없는 말"이라며 "인류 보편적 가치인 인권 문제도 제대로 해결하지 않는 상태에서 미래와 시대적 사명을 향해 어떻게 나아간다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문제에 대해서는 "가해자와 피해자가 서로 뒤바뀌어 물구나무 서 있는 참담한 상황"이라며 "우리 정부가 대법원의 (전범 기업에 대한 국내자산 특별현금화명령) 강제 집행을 대놓고 방해하고 나서는데, 일본이 반성할 이유가 어디에 있겠느냐"라고 했다.
또 윤 대통령이 언급한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에 대해서도 "제대로 알고나 하는 말인지 묻고 싶다. 한일 외교 사상 처음으로 과거사에 대한 일본의 반성·사죄가 공식 합의 문서에 명시된 것"이라면서 "지금처럼 가해자 일본의 역사적 책임을 눈 감은 채 무작정 미래로 나아가자고 했던 것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은 "윤 대통령은 경축사에서 '법치'를 3차례 강조했는데 과연 무엇인지 궁금할 뿐"이라며 "한국 최고 법원인 대법원 판결을 4년 동안 헌신짝 취급하며 우롱하는 오늘날의 한일 관계가 '법치'이고, '보편적 가치'인지 답해 달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