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1일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비상대책위 구성을 의결'하며 전국위원회 의장 서병수 의원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행 국민의힘 당헌당규상 비대위 임명권은 당대표에게 있으나, 이준석 당대표의 당원 자격정지와 권성동 직무대행이 사퇴하며 법적 분쟁에 휘말릴 가능성이 열려있는 것. 유일한 방법은 전국위를 통한 당헌ㆍ당규 개정에 있는 것을 알려졌다.
그럼에도 전국위 의장을 맡고 있는 서 의원은 "전국위 소집하지 않겠다" 밝힌 것으로 당일 뉴시스가 보도했다.
해당 언론과 통화한 서 의원이 "나는 생각이 다르기 때문에 (전국위를) 스스로 소집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차라리 권성동 원내대표가 책임지고 그만두고, 새 원내대표가 전국위를 열고 최고위원을 보강해 선출하면 비대위와 마찬가지의 새 지도부가 구성되는 것 아닌가. 그게 분란이 없고 쉬운 방법"이라고 주장했다는 것.
이어 서 의원은 "상임전국위와 전국위 소집 방법은 의장이 소집하는 방법과 최고위원회의 의결을 거치는 방법, 상임전국위 재적 위원의 4분의1 이상이 요청할 때 세 가지가 있다"며 덧붙이며 "상임전국위가 적법하게 열려 현재 당 상황을 '비상'으로 규정할 경우 비대위 의결이 가능해지는 당헌 개정에도 나서겠다" 밝혔다.
앞서 국민의힘은 같은 날 오후 의원총회에서 참석 89명 중 88명 동의로 '최고위원들의 사퇴로 당이 비상상황'이라는 총의를 모았다. 직무대행을 사퇴한 권성동 원내대표 또한 모두발언을 통해 "현재의 혼란을 극복할 수 있는 현실적 방법은 비대위 전환이라는 다수 목소리를 들었다"며 비대위 구성에 힘을 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