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합참, 북한 GP 피탄 단순 오발 가능성 높아

전통문 통해 GP사격 정전협정 위반 고지와 해명 요구

김영도 기자  2020.05.03 14:15:17

기사프린트

 

[시사뉴스 김영도 기자] 북한이 김정은 위원장의 건재함을 드러낸지 이틀 만에 중부전선에서 우리 GP 총격을 가하면서 단순 오발 사격 가능성과 고의성을 가진 사격이었는지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합참이 오발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합동참모본부(이하 합참)는 3일 오전 7시41분경 북한군이 중부전선 아군 GP에 수발의 총탄을 발사했으며 군 지휘관의 판단하에 GP 근무자가 GP 주변을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4발의 탄흔을 발견해 두 차례에 걸쳐 10여 발을 경고 차원의 사격으로 대응했다고 밝혔다.

 

또 합참은 현장 지휘관 판단 결과 북한이 의도적으로 도발했다고 보기에는 부적절하다고 설명했다.

 

당시 안개가 짙게 끼어 시계 확보가 좋지 않았고 시간대도 북측의 근무 교대 이후 장비 점검 이뤄질 때로 도발 계획을 짰다고 보기엔 기상과 시간대가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북측 GP 인접 영농지역에서 상황 발생 전, 발생 단계, 상황 발생 이후 현재까지 일상적 활동이 식별되고 북한군의 특이동향이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도 의도적인 도발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했다.

 

우리 아군 GP와 인접한 북한 GP를 보면 1.5~1.9㎞로 유효 사거리 밖으로 상당히 이격돼 있고 피격된 아군 GP에 비해 인근 북한 GP가 상대적으로 낮은 점도 의도적인 도발이라고 보기엔 부적절하다는 공식 입장이다.

 

우리 군은 두 차례의 경고사격 실시 후 현재 상황을 인식시키고 더 이상 상황 확대되지 않도록 하는 내용의 경고방송 내보냈으며, 정전협정 위반이라는 점을 북측에 알렸다고 밝혔다.

 

또 추가 조치로 오전 9시 35분께 남북장성급회담의 우리 측 수석대표 명의로 북측에 더 이상 상황이 확대되지 않도록 하고 이번 우리 GP사격에 대한 북한군의 설명이 있어야 한다는 내용의 전통문을 발송했다고 한다.

 

이번 북한군의 GP 총격은 지난 2018년 평양에서 열린 3차 남북정상회담에서 합의한 9ㆍ19 공동선언의 군사분야 부속합의서 이후 처음으로 도발한 것이다.

 

남북은 9ㆍ19 군사합의에 따라 지상에서 우발적인 무력 충돌 상황을 막기 위해 두 번의 경고방송과 두 차례의 경고사격을 하도록 하고 있지만 북한은 일련의 과정이 일체 없었던 것으로 파악된다.